오늘은 FUND에 대해서 공부해 봅시다!!
펀드라는 말은 자주 들었는데 정확히 어떤 종류인지 모르고 있었으니
하나하나 공부해 보아요!!
1. 펀드FUND개념
대표적 간접 투자 상품
주식과 채권을 사고파는 것을 펀드 매니저가 대신해주는 것
2. FUND 종류
주식형 펀드:주식 60% 이상
채권형 펀드:채권 60% 이상
혼합형 펀드: 주식혼합형 펀드-주식이 50-60%로 더 많음
채권혼합형 펀드-채권이 50-60%로 더 많음
재간접펀드-MMF: 현금성자산만 투자
국내펀드:한국에만 투자
해외펀드:해외에만 투자
역외펀드: 해외 증권사 주체에서 투자(미국 피델리티)
3. FUND 보수 체계
수수료: 매매 시 나가는 세금
보수료: 운용하는 동안 계속 나가는 세금
예) A : 선취수수료+환매수수료+년간 보수비 1.18%
C: 0+0+연간보수비 1.35%
P: 연금펀드 / C클래스에만 있음 / CP는 C보다 보수비 적음
e: 온라인전용펀드/ 수수료, 보수료 가장 낮음
4. FUND 장점
매니저가 대신해주니 편리
분산투자가 자동으로 됨
적립식으로 좋다(리스크 줄음)
장기투자가 된다
만기조절이 쉽다
세제혜택 상품이 있다 (ISA, 연금저축, IRP)
최신 기술 경험 가능 (상품으로 확인 가능)
초보에게 쉽다
5. FUND 단점
비용이 더 든다 (펀드 매니저)
종류가 너무 많다
새로운 게 나올수록 기존 펀드가 버림받을 수 있다(수익률 떨어짐)
내 실력이 늘지 않는다
손실 회복이 늦다 (거의 발생하지 않지만 발생하면....)
환금성이 떨어진다 (국내주식 4일 , 해외 주식 더 걸림)
투자자 수가 많다 (비싼 가격으로 살 경우가 있다)
728x90
'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재테크앱 엠브레인 가입방법, 돈버는 방법 (0) | 2021.12.28 |
---|---|
ETF투자 유형 및 종목 공부하기 !! (0) | 2021.12.27 |
국민은행 퇴직연금 계약 확인서 보내는 방법 (0) | 2021.12.25 |
국민은행에서 미래에셋으로 IRP 이전하는 방법 (0) | 2021.12.24 |
연금저축 계좌 개설하기 - 미래에셋 (0) | 2021.12.19 |